러시아 거대 석유사 총수들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만나 금년 1월 수준에서 산유량을 동결하기로 합의했다. 이들은 합의 대가로 정부로부터 세제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 이번 회담은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석유사들의 결정은 알렉산드르 노바크 러시아 에너지부 장관이 발표했다. 그는 회담 참석자들의 반응이 “긍정적이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년 1월 수준에서 산유량 동결이 반드시 산유량 감축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러시아 정부는 그 결과 유가가 상승하거나 적어도 안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탄화수소연료 가격이 많은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러시아는 현 수준에서 산유량을 동결할 수 있고, 게다가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들과 다른 산유국들이 감산에 합의하면 러시아에 이익”이라고 친정부 성향의 러시아국민경제국가행정아카데미의 이반 카피토노프 부교수는 말했다. 여기서 러시아 석유기업들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은 현 수준의 과세율 하에서는 신규 유전 개발이 수지타산이 맞지 않으며 새로운 조건 하에서 석유기업들이 투자 프로그램을 축소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과 석유사 총수들의 회담은 가장 중요한 비공개 협상들이 진행되는 크렘린궁 국가안보회의 회의실에서 열렸다. RBC통신의 소식통 자료에 따르면, 석유사 총수들이 가장 우려한 것은 자신들의 계획에 없던 석유 채굴 및 수출량 감산을 강요받지 않을까 하는 점이었다.
그렇게 됐다면 시장 지분을 잃고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할 수도 있는 문제였다. 푸틴 대통령의 설명에 따르면, 2015년 러시아 석유사들의 총 산유량은 2014년보다 1.4% 더 많은 5억 3,400만 톤으로 사상 최대였다. 푸틴 대통령은 “석유 산업의 안전성을 유지하고 석유 산업 발전을 확보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고 밝혔다.
노바크 장관은 석유사들이 산유량 동결 합의 대가로 세제 혜택 혹은 국가재정 수입 악화에도 불구하고 최소한 이전 수준으로 세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회의를 마친 후 리아노보스티통신에 밝혔다. 하지만 석유업계 세제조정 문제는 정부에서 더 논의를 거치게 될 것이라고 는 덧붙였다.
지난 2월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베네수엘라는 다른 산유국들이 산유량 동결에 합류할 경우 금년 1월 수준에서 산유량을 동결하기로 합의했다. 에콰도르와 알제리, 나이지리아, 오만,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가 이미 산유량 동결 계획을 밝혔지만, 이와 관련해 서면 합의안은 전혀 나오지 않았다. 게다가 제재에서 벗어난 이란은 반대로 산유량을 늘리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투자홀딩 ‘피남’의 애널리스트 알렉세이 칼라체프는 “러시아가 사우디아라비아와 합의한 산유량 동결은 유가에 영향을 미치는 실제 요인이라기보다는 이른바 ‘언어적 개입’에 더 가깝다”고 말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양국이 동결의 기준으로 삼은 지난 1월의 산유량은 역사상 최고 수준 가운데 하나였다.
더욱이 현대 세계에서는 유가가 산유국들에 의해서만 아니라 핵심 구매국들, 특히 중국의 수요에 의해서도 좌우된다고 투자회사 ‘루스인베스트’의 분석실장 드미트리 베덴코프는 말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개발도상국들의 석유 수요는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투자회사 ‘프리덤파이낸스’의 게오르기 바셴코 러시아 펀드시장 거래부장은 “수급 불균형이 여전히 하루 약 150만 배럴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고, 이런 상황이 연말까지는 유가상승을 억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