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거래소는 도하 회담에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 유가는 일일 오차 범위 안에서 오르내리며 배럴당 평균 41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회담 결과가 시장에 분명한 기준점을 제공하지 못해 투기자들이 앞으로 이런 회담들에 강하게 반응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고 알렉산드르 파세치니크 국가에너지안보재단(NESF) 분석국장은 설명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조만간 유가가 배럴당 40~45달러 사이를 오르내리고 이러한 가격대는 러시아 예산이 충분히 견딜 만하다.
유가는 마침 카타르 회담이 준비 중이던 지난 두 달 사이에 러시아 예산이 견딜 만한 수준으로 올라섰다. 주요 석유 수출국들의 산유량 수준 동결 가능성에 관한 이야기는 2월 중순에 시작됐다. 이때부터 유가는 배럴당 32달러(2월 16일)에서 44달러(4월 12일)까지 꾸준히 상승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펀더멘털 요인들도 여기에 개입됐다고 알렉산드르 파세치니크는 지적했다.
고난도 프로젝트들(셰일오일과 대륙붕 개발)에 대한 투자가 유예됐다. 이로 인해 벌써 석유 공급이 제한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저유가 시기가 수요를 촉발했다. 예를 들면, 중국은 2016년 1분기에 석유 수입 한계선을 상향 조정했다. 이는 세계 석유 수요를 촉발하고 있다.
“이들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지난 1월 초 시장에 나타난 공급 과잉(초과량은 하루 1백만 배럴이었다) 효과를 상쇄하고 있다. 지금은 초과량이 줄어들었다”는 것이 파세치니크의 결론이다.
세르게이 프라보수도프 국가에너지연구소 소장은 “석유 시장이 요동칠 수도 있다. 유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불가능한 요인 3가지가 더 있기 때문이다”고 평가했다.
“유가는 미국의 산유량이 얼마나 줄어드느냐, 그와 동시에 이란과 이란이 산유량을 얼마나 늘릴 것인가, 세계 석유 수요가 어떤 속도로 증가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고 프라보수도프 소장은 설명했다. 그는 “도하 회담 참가국들이 사실상 ‘아무것도’ 합의하고 싶어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라크와 이란을 제외한 핵심 석유 수출국들은 여전히 산유량을 늘릴 생각이 없다. “러시아는 사실상 산유량을 더 늘릴 수 없다. 이미 몇 년간 산유량이 최대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산유량도 최대치에 달하고 있다. 그럼에도 사우디는 산유량을 추가로 늘릴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누구도 이것을 확인하거나 부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지난 4월 17일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17개 산유국 회담이 열렸다. 이 회담은 산유량 동결에 합의하려는 시도였다. 하지만 사우디의 입장 때문에 선언문 서명에 실패했다. 사우디는 이란과 리비아를 포함한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전체가 이 선언문에 서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는 ‘미션 임파서블’이다. 회담에 앞서 이란은 경제 제재를 받기 이전 수준인 하루 4백만 배럴로 증산할 계획임을 재차 확인했고 리비아는 자국의 석유 채굴을 통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